'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4)
이집트 시나이산 (Mount Sinai) 이집트 시나이산 (Mount Sinai) 시내산 (히브리어: הַר סִינַי‬, Har Sinai)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십계명을 주신 산이다. 출애굽기에서 가장 큰 상징적인 존재이다. 신명기에서는 호렙산이라고 하기도 였다. 일반적으로 성경 학자들에 의해 같은 장소로 인식된다. 실제 시내산의 위치에 대하여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시내산은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에게 성지로 인식되고 있다.[1] 어원 호렙이라는 단어는 "열기"라는 의미로 인식되는데, 태양에 비유된다. 시내라는 단어는 수메르어의 '신'(의미: 달)이라는 단어에서 나왔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호렙산은 태양의 산, 시내산은 달의 산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성경의 묘사 성경의 내용을 살펴보면, 시내산은 "우뢰와 번개와 빽빽한 구름이 산..
르비딤 (파란 오아시스) [Rephidim] 르비딤 [Rephidim] 파란 오아시스 ‘휴식처’란 뜻.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산에 도착하기 전 마지막으로 진친 곳. 이스라엘 백성이 물이 없어 목말라 하며 하나님을 원망할 때 모세가 반석을 쳐서 물을 낸 곳이며(출 17:5-6), 아말렉의 공격을 받아 일전을 치룬 곳이기도 하다(출 17:8-13). 시내 산 북서쪽 20㎞ 지점의 와디 페이란(wadi Feiran)으로 추정된다.
마라의 샘 (모세의 우물) [Well of Marah, Moses Spring] 마라 [Marah] ‘쓴 것’이란 뜻.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 3일 길을 지난 후 최초로 진을 친 곳으로 광야(수르 혹은 에담)의 한 지역(출 15:22; 민 33:8-9). 이곳의 우물 맛이 써서 마실 수 없었던 데서 붙여진 지명(출 15:23). 이때 이스라엘 백성은 모세를 원망했고(출 15:24), 모세가 기도를 통해 하나님의 지시를 받고 한 나무를 물에 던져 물맛을 변화시켰다(출 15:25-26). 마라의 샘 (모세의 우물) [Well of Marah, Moses Spring] 이집트 시나이반도 남부의 오아시스로 수에즈 운하를 관통하는 아흐마드 함디 터널(Ahmed Hamdi Tunnel)에서 27km 거리에 있다. 출애굽기에 기록된 기적의 샘이라 여겨진다. 원어명 عيون موسى..
신광야 신 광야 [Desert of Sin] 1. ‘습지’, ‘늪’이란 뜻. 엘림과 시내 산 사이의 광야(출 16:1; 17:1). 혹은 홍해와 돕가 사이의 광야(민 33:11-12). 어느 곳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 광야는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통과한 광야이자, 하나님께서 처음으로 만나를 내려주신 곳이기도 하다(출 16:4). → ‘출애굽 연대와 그 여정’ 참조 2. 광야 생활을 거친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으로 들어갈 때 통과한 광야. 가나안 경계와 가까운 곳이다(민 13:21). 이 광야 내에 가데스바네아가 있었다(민 20:1; 27:14; 33:36). 에돔은 신 광야의 동편에, 유다는 북동쪽에 위치하며(수 15:1-3), 바란 광야는 남쪽에 있다.
이집트 수에즈 운하 [Suez Canal] 수에즈 운하 [Suez Canal] 해상실크로드의 연결 운하. 지중해와 홍해, 인도양을 연결하는 수에즈 운하는 유라시아의 해상실크로드를 연결하고 거리를 단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항로의 단축을 위해 수에즈 지협(地峽)을 운하로 항해하려는 시도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기원전 1380년경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가 개굴(開掘)된 후 운하는 천재와 전쟁 등으로 인해 매몰되었지만, 로마시대에 항해가 재개되었다. 그러나 아직은 수에즈 지협을 항해하는 운하는 아니어서 불편이 많았다. 대항해시대에 접어든 16세기에 지중해 연안에서 베네치아 상인들은 수에즈 지협에 운하를 파 포르투갈이나 스페인의 해상 패권에 대응하려고 했으며, 17~18세기에는 프랑스의 루이 14세와 독일 황제 라이프니츠는 수에즈..
이집트 나일강 [Nile River] 나일강 [Nile River]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의 하나로 적도 부근에서 발원하여 에티오피아, 수단, 이집트 등을 거쳐 지중해로 흐르는 아프리카 최대의 강. 총길이 약 6,700km 정도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긴 강 중의 하나이다. 발원지를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강의 길이가 달라지기도 하는데, 보통 남반구의 부룬디ㆍ탄자니아 국경 부근에서 발원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하류 부근의 이집트를 지나 지중해까지 이어진다. 아프리카 대륙의 중앙부에서 북부까지 여러 나라를 거쳐 흐르는 국제하천으로 유역면적은 아프리카대륙의 약 1/10을 차지한다. 나일강의 발원지는 18세기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는데, 1858년 영국인 스피크는 빅토리아호(湖)가 나일강의 수원일 것이라 추정하고 탐험을 시작..
이집트 모세기념교회 (Ben Ezra Sinagogue) 이집트의 모세기념교회 (Ben Ezra Sinagogue) - AD 4세기에 공중교회의 부속건물로서 지어져 AD 9세기 전까지는 성미카엘교회 또는 가브리엘 천사교회로 불림. - 제56대 교황 마카일 4세때 아흐메드 이븐 툴룬(이집트 이슬람왕조, AD 868-905)이 ‘이븐 툴룬 모스크’ 건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기독교도들에게 부과한 고액의 세금을 감당하기 위해 매각한 예배당들 중 하나로 유대인들이 매입하여 회당으로 개조하여 사용함. 알하킴(AD 996-1021)때 다시 파괴됨. - 이 회당이 다시 지어진 당시에는 주위에 29개의 사원과 20개의 예배당이 존재하고 있었음. 133,000명의 무슬림들과 10,000명의 콥틱 기독교인, 42명의 유대인들이 올드 카이로 지역에 살고 있었음(기록들에 의하면 종..
이집트 아기예수 피난교회 아기예수 피난교회 [The Church of Abu Serga] 헤롯왕의 박해를 피해 도망을 왔던 예수, 성모마리아, 요셉의 은신처에 세워진 교회이다. 이집트에서 가장 잘 알려진 콥트 교회 중 하나로 꼽힌다. 성 세르지우스 교회나 아부 세르가 교회로 불리기도 한다. 바실리카 양식으로 지어졌다. 초기 건물은 5세기 완공되었으며 AD 303년 로마 황제 막시밀란에 의해 순교 당한 성자 세르지우스와 바커스에게 바쳐진 교회였다. 예수 일행이 피난 생활을 하였던 동굴 위에 지어졌다고 한다. 교회 내부에는 예수의 열두 제자를 상징하는 흰색 화강암으로 만든 대리석 기둥이 있다. 이중 다듬어지지 않은 채로 세워진 붉은색 기둥 하나는 가롯 유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두 개의 복도와 중앙홀, 세 개의 본당, 여러 성화로 장..
이집트의 스핑크스 이집트의 스핑크스 [Sphinx] 고대 오리엔트 신화에 나오는 괴물. 그 기원은 이집트이며, 사람의 머리와 사자의 동체를 가지고 있다. 왕자(王者)의 권력을 상징하는 모습으로 표현된 것인데, 이집트와 아시리아의 신전이나 왕궁 ·분묘 등에서 그 조각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집트의 기제에 있는 제4왕조(BC 2650년경) 카프레왕(王)의 피라미드에 딸린 스핑크스가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자연암석을 이용하여 조각한 것인데, 군데군데 보수(補修)한 흔적이 있다. 전체의 길이 약 70 m, 높이 약 20 m, 얼굴 너비 약 4 m나 되는 거상(巨像)으로, 그 얼굴은 상당히 파손되어 있으나 카프레왕의 생전의 얼굴이라고 한다. 앞으로 뻗은 앞다리 사이에는 투트모세 4세의 석비(石碑)..
이집트의 피라미드 이집트의 피라미드 (쿠푸왕 피라미드) 이집트 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상징적인 건축물로서, 고왕국 시대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때까지 계속해서 건축되었다. 현재 이집트에 남아있는 피라미드는 보고된 것만 80기 이상이며, 학자에 따라서는 112기로 보기도 한다. 대부분의 피라미드가 나일강 서안을 따라 남북으로 분포하고 있다. 피라미드는 독립 구조물이 아니라 건축물 복합체의 일부였다. 피라미드는 자체로서 무덤 역할을 하거나 무덤 위에 세워졌으며, 그 옆에는 장례와 제례에 사용되는 장제전이 있고, 강변까지 운하로 이어지도록 건축된 것이 대부분이다. 피라미드 건축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제 3~5왕조로, 이 시기를 '피라미드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후 피라미드 건축 점차 축소되다가 제 18왕조부터는 ..